선운산 등산코스, 최단코스 (336m)

선운산(禪雲山)은 높이 336m 정도의 낮은 산입니다. 하지만 산림청 100대 명산에 선정되었을 정도로 춘하추동 경관이 수려하고 생태학적 가치까지 우수한 매력적인 산입니다.

 

 

선운산 등산코스는 정상인 수리봉 외에도 천마봉, 국사봉 등의 암릉을 함께 아우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볼거리 많은 선운산을 즐기는 방법을 여러 가지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선운산의 사계

  • 봄: 동백, 벚꽃
  • 여름: 도솔계곡
  • 가을: 꽃무릇, 단풍
  • 겨울: 설경

선운산 내 선운사의 대웅전 뒤편에는 5천여 형의 공간에 5백년 수령의 동백나무가 3천여 그루가 있습니다. 매년 4월 봄이면 붉은 동백꽃이 가득 피어나 어디서도 보지 못한 경치를 선사합니다. 또한 벚꽃도 화사하게 피어나기 때문에 선운산의 봄은 밝고 환합니다.

 

 

여름에는 도솔계곡에서 쉬어가기 좋습니다. 맑은 계곡물과 시원한 소리, 울창한 숲은 등산 중 땀이나 더위를 식히기에 딱입니다. 이 일대에는 초가을에는 꽃무릇이, 그리고 가을이 깊어가면 알록달록한 단풍이 색을 더합니다. 특히 선운산은 단풍 100대 명산으로 선정될 정도로 가을철 풍경이 뛰어납니다.

 

 

겨울에는 눈이 내려 하얗게 변한 설경이 백미입니다. 시기에 따라 하얀 눈 속 피어난 동백꽃을 보는 경우도 있으니 몇 번을 방문해도 좋을 것입니다.

 

 

 

선운산 등산코스, 등산지도

흑백-지도에-선운산-등산코스-4개가-그려져-있다.
선운산 등산코스
  • 1코스(4.7km): 관광안내소 – 도솔암 – 용문굴 – 낙조대 – 천마봉/왕복 3시간
  • 2코스(6.1km): 관광안내소 – 석상암 – 마이재 – 포갠바위 – 참당암 – 소리재 – 낙조대 – 천마봉/왕복 5시간
  • 3코스(10.8km): 관광안내소 – 경수봉 – 마이재 – 수리봉 – 국사봉(견치산, 개이빨산) – 소리재 – 천마봉/왕복 8시간
  • 4코스(8.3km): 관광안내소 – 도솔제 – 투구바위 – 사자암 – 쥐바위 – 청룡산 – 배맨바위 – 낙조대/왕복 10시간

선운산 등산코스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됩니다. 이중 최단코스는 바로 1코스입니다. 관광안내소에서 시작하여 선운사, 장사송, 도솔암, 마애불상, 용문굴, 낙조대를 지나 천마봉에 이르는 코스입니다. 계곡을 따라 도솔암까지 산책하듯 걸어간 뒤 천마봉까지의 경사구간을 오르면 되기에 난이도 또한 낮습니다. 왕복 3시간이 소요됩니다.

 

 

2코스는 6.1km 구간을 왕복 5시간 정도 걸어야 하는 코스입니다. 산책에 가까운 1코스와 달리, 2코스부터는 산행의 느낌이 보다 가미됩니다. 관광안내소에서 출발하여 선문사 옆쪽으로 올라 석상암, 마이재, 포갠바위, 참당암을 지나 소리재, 낙조대까지 오른 뒤 천마봉에 다다르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난이도는 높지 않은 편입니다.

 

 

컬러-지도-위에-선운산-등산코스가-표시되어-있다.
선운산 등산지도

이어지는 선운산 등산코스 C코스는 10.8km 구간을 왕복 8시간 동안 산행해야 하는 최장거리 코스입니다. 선운산의 특성상 위험한 비탈이나 급경사 구간은 많지 않지만 길게 이어진 능선을 타야 하므로 체력이 뒷받침 되어야만 합니다. 선운산 정상인 수리봉은 물론, 가장 높은 경수봉(444m)이나 국사봉(346m)도 거치므로 서해를 감상하기에 좋습니다.

 

 

마지막 D코스는 거리는 8.3km 정도이지만, 소요시간은 왕복 총 10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최장시간 코스이기도 합니다. D코스는 물길을 따라 도솔제 방면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이후 투구바위, 사자바위, 국기봉, 쥐바위, 그리고 청룡산을 지나 낙조대까지 산길이 이어집니다.

 

 

이 외에도 선운산 등산코스는 소개해드린 네 가지 코스를 조합하여 원하는 대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를 테면 3코스와 4코스를 조합하면 크고 작은 몇 개의 봉우리를 거치는 원점회귀 대장정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1코스로 천마봉에 오른 뒤, 2코스로 하산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선운산 입장료

선운산은 기존에는 방문객에 대한 입장료를 징수하였으나, 2023년 5월 4일 이후 문화재보호법이 개정되며 현재 누구나 무료 입장이 가능합니다. 주차장 또한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규모도 넉넉하니 자가용으로도 방문하기에도 부담이 덜하겠습니다.

 

 

 

선운산 가는 길

  • 정읍시외버스터미널 – 고창문화터미널 – 141번 버스 – 선운산 하차
  • 고창읍성 인근 신사거리 – 141번 버스 – 선운산 하차
  • 고창읍성 기준, 택시로 20분(약 36,000원)

대중교통으로 선운산에 가는 방법도 소개합니다. 선운산은 고창문화터미널에서 141번 버스를 타고 19개 정류장, 30분 정도를 이동하면 바로 도착할 수 있습니다. [선운산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등산코스 들머리인 관광안내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고창읍성을 기준으로 하면, 인근의 신사거리에서 마찬가지로 141번 버스를 타고 선운산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141번 버스를 타면 선운산에 쉽게 닿을 수 있지만, 하루 7번 정도만 운행하기 때문에 정류장에서 시간표를 반드시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버스가 없다면 택시로 20분 소요되니 이 또한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선운산 주변 맛집

선운산 주변에는 단연, 고창의 자랑인 풍천장어를 판매하는 맛집이 많습니다. 장어구이나 장어탕 등의 메뉴를 통해 사시사철 장어를 접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고창의 특산품인 복분자주와 지역 막걸리도 곁들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산나물, 매운탕, 전골, 아침식사를 위한 국밥 등의 메뉴를 판매하는 식당이 다양합니다. 장어 전문점은 선운산과 경수산을 둘러싸고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고창읍성 인근 시내에도 모여있으니 산 주변 또는 읍성 주변의 맛집을 방문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전라도의 명산

마이산 등산코스, 입장료 (687m)

장흥 천관산 등산코스, 지도 (723m)

영암 월출산 등산코스, 소요시간 (809m)

조령산 등산코스, 등산지도 (1,017m)

 

 

 

참고사이트(출처)

고창 문화관광 홈페이지

산림청 홈페이지

error: Content is protected !!